본문 바로가기

극한직업 겨울 산과 바다의 보물 칡 vs 대구

theJungs 2021. 1. 20.
728x170

극한직업 겨울 산과 바다의 보물 칡 vs 대구

극한직업 겨울 산과 바다의 보물 칡 vs 대구

찬바람과 함께 돌아온 칡과 대구!

자연이 주는 보물을 만나기 위해 추운 겨울을 헤치고 산과 바다로 나서는 사람들이 있다. 거제 외포리는 겨울 진객이라 불리는 대구를 만나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로 분주하다. 산란기를 맞은 대구가 거제 앞바다로 돌아왔기 때문이라는데. 한때 어획량 급감으로 한 마리에 몇십만 원까지 가격이 치솟아 ‘금대구’라고도 불렸던 대구는, 1980년대에 실시한 수정란 방류사업과 1월 한 달의 금어기를 철저히 지킨 어민들의 노력으로 다시금 소비자 앞에 돌아올 수 있게 됐다. 덕분에 어민들은 조업부터 경매, 대구 손질과 판매까지 하루 24시간이 모자랄 만큼 분주하다.

한편, 겨울철 가장 영양가가 높다는 칡을 채취하기 위해 험준한 산을 오르는 작업자들이 있다. 삽과 곡괭이로 꽁꽁 언 땅을 파내고, 칡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채취하다 보면 작업자들은 숨 돌릴 틈도 없다. 자칫 잘못해 미끄러지면 아찔한 추락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는데. 겨울의 맛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을 찾아가 본다.

찜부터 약대구까지! 제철 대구의 무한 변신!

12월부터 2월 초까지가 제철! 산란기를 맞이한 겨울 진객이 다시 돌아왔다. 한류성 회귀 어종인 대구는 가덕만과 진해만에서 부화한 뒤 알래스카 연안까지 갔다가 산란기가 되면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오는 습성을 지녔다. 덕분에 그 시기가 되면 덩달아 바빠지는 곳이 있다는데. 전국적으로 대구의 최대산지로 잘 알려진 거제도는 알과 정소로 꽉 찬 통통한 대구를 소비자에게 맛보여주기 위해 겨울 한 철 숨 돌릴 틈 없이 분주하다. 

아침 바다를 헤치고 잡아 온 싱싱한 대구는 경매장을 통해 어민들의 작업장으로 이동한다. 거제의 작업자들은 하루에 약 200마리의 대구를 손질하느라 밥 먹을 시간도 없다는데. 그 크기도 40cm부터 1m 이상까지 다양한 대구는 대구탕, 대구찜 등의 친숙한 음식뿐만 아니라 대구 알젓과 아가미 젓갈, 대구를 통으로 건조한 약대구 등으로 다양하게 변신해 소비자를 즐겁게 해준다.

1. 1박3식 어부의 만찬 (대구 잡이)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이수도길 57

T. 010-4397-0814

H.http://esudo.stweb.kr/

 

이수도 어부의만찬

어부의만찬민박,거제이수도1박3식,이수도여행,이수도낚시,이수도펜션,이수도민박

esudo.stweb.kr

2. 외포9번횟집 (대구 식당)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5길 64

T. 055-636-6294

 

3. 국자횟집 (대구 식당)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5길 64-1

T. 055-636-6023

 

4. 진영수산식품 (건대구, 약대구)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5길 56

T. 010-3909-7478

블로그 인기글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대구찜 대구탕 경남 거제 외포 시어머니 레시피로 만든 맛집 위치 주소 가격 알아보기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대구찜 대구탕 경남 거제 외포 시어머니 레시피로 만든 맛집 위치 주소 가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대구찜 대구탕 경남 거제 외포 시어머니 레시피로 만든 맛집 위치 주소 가격 알아보기 김영철 동네한바퀴 경남 거제 외포의 대구찜 대구탕 맛집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경남

jeffreysays.tistory.com

극한직업 나만의 세컨드 하우스 황토집과 목조 주택 관련 정보

 

극한직업 나만의 세컨드 하우스 황토집과 목조 주택 관련 정보

극한직업 나만의 세컨드 하우스 황토집과 목조 주택 관련 정보 2020년 11월 11일 (수) 밤 10시 45분에 방송되는 EBS1 극한직업 627화에서는 〈나만의 세컨드 하우스 황토집과 목조 주택〉이라는

jeffreysays.tistory.com

10km의 산행! 흙 속의 진주, 대물 칡을 찾아라

육지에도 겨울을 맞아 분주해진 사람들이 있다. 바로 흙 속의 진주라 불리는 칡을 캐기 위해 산행하는 작업자들이라는데. 칡 채취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산 소유주의 동의를 받는 일! 무사히 허락을 받으면 작업자들은 삽, 곡괭이 등의 도구를 메고 이 산에서 저 산으로 칡을 찾아 움직이기 시작한다. 

험준한 겨울 산을 오르다 보면 넘어지고 다치는 일은 다반사라는데. 많게는 하루에 10km 넘게 걷는 경우도 있지만 그럼에도 칡을 찾을 때까지 작업자들은 쉬지 않는다. 고된 산행 끝에 발견한 대물 칡은 그간의 고생을 한 번에 씻어내려 준다. 

그렇게 지게에 한가득 싣고 내려온 칡은 작업장에서 칡즙이나 칡 조청 등의 건강식품으로 변신해 소비자들의 입을 즐겁게 해준다는데. 맛있는 보물을 간직한 겨울 산과 바다의 치열한 현장을 극한직업에서 소개해본다.

5. 김종덕 (칡)

단양군 대강면 대강로 53

T. 010-7701-5860

김복수 (칡)

충청북도 가곡면 남한강로 1086

T. 010-8638-1145

 

6. 농업법인 에버그린 주식회사 (칡 조청)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참별로 1310-5

T. 010-9649-3678

해당 업체와 광고나 지원이 전혀 없는 글입니다

많이 본 포스팅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