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것이 알고싶다 그알 1357회 '응급실 뺑뺑이'가 불러온 5살 아이의 죽음, 아니라는 복지부

▒▒▒▒▒▒▒▒▒▒ 2023. 6. 19.
728x170

그것이 알고싶다 그알 1357회 '응급실 뺑뺑이'가 불러온 5살 아이의 죽음, 아니라는 복지부, 지난 어린이날 연휴, 5세 아이가 급성 후두염으로 숨졌습니다. 이 과정에 '응급실 뺑뺑이'가 있었습니다.

그것이 알고싶다 그알 1357회 '응급실 뺑뺑이'가 불러온 5살 아이의 죽음, 아니라는 복지부

그것이 알고싶다 그알 1357회 '응급실 뺑뺑이'가 불러온 5살 아이의 죽음, 아니라는 복지부
그것이 알고싶다 그알 1357회 '응급실 뺑뺑이'가 불러온 5살 아이의 죽음, 아니라는 복지부

 

 

119 구급대가 대학병원 응급실 네 곳을 알아봤으나 진료가 안된다고 했고 다섯 번째 대학병원에서 입원이 안 된다는 조건 하에 진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섯 번째 병원 소아과 교수는 정상적인 진료를 했고 상태가 호전돼 퇴원조치 했다고 말합니다. 의무기록을 살펴보면 소아과 교수는 적절한 진료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새벽에 상태가 호전돼 퇴원한 아이가 자고 일어나니까 상태가 악화돼 있었습니다. 엄마는 다시 해당 병원에 전화를 걸었는데, 병원은 또 진료는 가능하지만 '입원이 불가'하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이때 엄마의 머릿속은 어땠을까요?

전날 밤 119를 타고 여러 응급실을 떠돌았던 장면이 떠올랐을 겁니다. 구급차 안에서 힘들어하던 아이의 모습은 사무치게 아팠을 겁니다. 그날 저녁 아이의 상태는 갑자기 악화됐고 119가 도착했을 때 심장이 멈춘 상태였으며 결국 병원에서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실화 라는 게 더 쇼킹한... 어느 의사의 선택 소아 응급실 뺑뺑이 바로 확인

 

좀 더 설명하면 - '응급실 뺑뺑이'가 아니라는 복지부

보건복지부는 5세 아이 사망 사고를 두고 '응급실 뺑뺑이' 사망이 아니라고 발표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119가 A, B, C, D, E 다섯 개 병원을 유선, 즉 전화로 문의했기에 응급실을 전전하다 사망한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이 말은 거짓입니다.

5세 아이를 태운 구급차는 5월 6일 22시 38분 A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고, 22시 40분에 접수까지 한 상태였습니다. A병원에서 기다리면서 B, C, D, E 병원에 전화했고 E 병원이 '입원은 불가하지만 진료가 가능하다'고 해 옮겨 간 겁니다.

보건복지부는 이 사실을 보도자료에 적지 않았습니다. 5세 아이가 숨진 이유를 '응급실 뺑뺑이가 아니다'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복지부의 결론이 그렇더라도, 국민의 눈높이로는 1분 1초가 급한 어린 환자를 태운 구급차를 길가에 세우고 전화로 이 병원 저 병원 알아보는 것 자체가 '응급실 뺑뺑이' 아닐까요.

 

📌실화 라는 게 더 쇼킹한... 어느 의사의 선택 소아 응급실 뺑뺑이 바로 확인

 

한 걸음 더 - 왜 이런 비극이 일어나나

어린이 응급 환자를 받을 수 없다고 했던 그날 밤의 대학병원 4곳에 그랬던 이유를 물었습니다. 국내 최대 소아과 응급 병상을 갖춘 A 병원은 대기 환자가 많았고, 소아 응급실이 따로 없는 B, C 병원은 성인 환자로 꽉 차 침상이 없었으며 D 병원은 '야간 소아 응급 환자를 진료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환자를 진료했지만 '입원 불가'라는 조건을 달았던 다섯 번째 병원은 소아과 당직 교수가 정상적으로 진료했다고 말합니다. 입원이 안 된다고 한 건 '직원의 착각'이었다고 했습니다.

원래 12명이던 소아과 전공의가 최근 3명으로 줄었고, 그 상태에서 24시간 소아 응급실을 운영하다 보니 의료진이 '번 아웃' 돼 운영을 중단할 때가 있다는 겁니다.

소아 응급병상 찾기가 어렵다 보니까 119 구급대도 '응급실로 이송한다'는 원칙이 있지만 급한 대로 문을 연 동네 소아과 병원을 찾고 있습니다.

 

📌실화 라는 게 더 쇼킹한... 어느 의사의 선택 소아 응급실 뺑뺑이 바로 확인

 

실태와 문제 - 의료진 없는데 병원은 늘리겠다?

정부 대책은 어린이 공공진료센터를 더 만들고 야간과 휴일에 진료하는 병원을 더 늘리겠다는 겁니다. 이런 게 왜 안 먹히는지 숨진 어린이와 관련된 4개 대학병원을 살펴보겠습니다.

소아과 전공의의 수가 B 병원은 0명 C, D 병원은 3명씩인데 각각 4년 차 2명, 1년 차 1명이고, E 병원은 4년 차만 4명입니다. 이 숫자로 24시간 365일 당직 일정표를 짜는 건 불가능합니다.

올해 전체 소아과 전공의 정원이 159명인데 단 32명만 지원했습니다. 대학병원 50개 중 38곳에는 지원자가 없었습니다. 소아과 볼 의료진이 부족한 건데 어린이 병원 숫자를 늘리겠다는 대책을 내놓았으니,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

 

📌실화 라는 게 더 쇼킹한... 어느 의사의 선택 소아 응급실 뺑뺑이 바로 확인

 

이 병원 저 병원 흩어져 있는 소아과 의료진을 모으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겠는데, 이것도 간단치 않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인 A 병원은 소아과 전문의가 62명, 전공의는 28명입니다 그런데 환자가 전국에서 몰려서 응급환자라도 3시간 넘게 기다려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필요한 환자는 감히 접근하기도 어려운 형편입니다.

그리드형

댓글